반응형
Sar –r 1 명령어를 사용하시게 되면 명목상 사용중인 메모리 사용률이 출력됩니다.
kbmemfree : 물리 메모리 남은양
kbmemused : 사용중인 물리 메모리
kbbuffers : 커널내 버퍼로 사용되고 있는 물리 메모리량
kbcached : 커널내 캐시용 메모리로 사용되고 있느 물리 메모리량
kbswpfree : 스왑 영역의 남은 용량
kbswpued : 사용중인 스왑 사용량
%memused 항목에서 표시되는 % 가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가 됩니다 . 하지만 이 수치는 명목상의 수치이며 실질적인 메모리 사용률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free -h 명령어를 통하여 조회 및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.
명목상 : (8008992 – 162780) / 8008992 = 0.9796753 = 97.96%
실질적인 메모리 사용량 : (8008992 – 3954812) / 8008992 = 0.50620 = 50.62%
조회하는 시간이 조금 달라 값은 조금 다르지만 위와같은 계산법으로 실질적인 사용량과 명목적인 사용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저도 아직 공부하는 입장에서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. 추가적으로 설명해야될 부분이나 부족한점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.
반응형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일반계정 DB접속 방법, 환경변수 등록 및 dba권한 부여 (0) | 2021.08.30 |
---|---|
[Linux] 유저 계정 삭제 방법 및 rm 디렉토리 삭제 (0) | 2021.08.27 |
[Linux] su: warning: cannot change / Permission denied (0) | 2021.08.26 |
[Linux]Centos7 ip확인, OS버전 확인 (0) | 2021.08.21 |
[Linux]Centos 7 jdk 1.7.0_80 설치 및 환경변수 등록 (0) | 2021.08.16 |